근육을 평가할때 뻗뻗해져(stiffness) 있는것인지 실제 근육 길이 자체가 단축(shortness)되어 있는지를 구분해 내는것은 아주 중요 합니다.
만약 뻗뻗해진 상태인 경우 해당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것 만으로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지만 실제 길이가 짧아진 경우 해당 근육의 길이를 확실하게 늘려줘야 하고 치료기간도 최소 2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게 됩니다.
치료계획을 짜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.
stiffness 와 shortness를 구분하는 방법을 두가지 예를 들어서 설명 하겠습니다.
1. 근육이 뻗뻗한 경우
사진출처 : 팔다리 등뼈와 목뼈의 운동계 손상 증후군
A그림을 보시면 치료사가 환자의 무릎관절을 폄 하는 동안 햄스트링의 장력에 의해 허리뼈가 굽힘되고 있습니다. 햄스트링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 할 수 있겠죠!!
B그림은 환자에게 무릎관절을 펼때 허리뼈가 굽혀지지 않게 유지하라고 지시한 후 무릎관절을 폄할때 정상 가동범위가 나오는 모습 입니다.
햄스트링의 장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허리뼈가 굽힘되지만 실제로 길이의 단축은 없고 뻗뻗한 상태임을 의미 합니다.
2. 근육이 단축된 경우
사진출처 : 팔다리 등뼈와 목뼈의 운동계 손상 증후군
B그림을 보시면 위의 검사에서와 마찬가지로 무릎관절을 신전하는 동안 허리뼈가 굽힘되고 있습니다. 마찬가지로 햄스트링에 문제가 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.
C그림을 보시면 이번에도 허리뼈를 굽히지 말라고 지시한 후 같은 검사를 한 결과 무릎관절 폄의 LOM이 발생되고 있습니다. 이것은 근육이 단축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.
이렇게 간단한 검사를 통해 stiffness 와 shortness를 구분해 낼 수 있습니다.
'물리치료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육불균형과 어지러움 (0) | 2018.06.04 |
---|---|
슬개골 테이핑(patella taping) 적용 전후 움직임 변화 (0) | 2018.05.30 |
물리치료사의 사회적 인식과 변화를 위한 노력 (2) | 2017.07.21 |
도수치료에는 교정기법(카이로프랙틱)만 있는것이 아닙니다. (0) | 2017.07.12 |
수동적인 치료와 능동적인 치료 (0) | 2017.07.11 |